반응형 메타5 메타관리(공공데이터 공통표준컬럼관리) 컬럼(column)이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특정한 단순 자료형의 일련의 데이터 값과 테이블에서의 각 열을 말한다. 공통 표준 단어 + 공통 표준 도메인을 결합하여 컬럼을 만든다. [컬럼정의서] 테이블명 컬럼명 (영문) 컬럼명 (한글) 연관 엔터티명 연관 속성명 Not Null 여부 데이터 타입 길이 PK 정보 FK 정보 제약 조건 컬럼 설명 항 목 항목 정의 및 작성지침 테이블명 해당 컬럼이 소속된 테이블의 이름 컬럼명(영문) 컬럼의 이름으로 ‘표준용어정의서’에 등록된 용어를 사용 컬럼명 (한글) 해당 컬럼과 연관되는 속성의 이름과 동일하게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연관 엔터티명 해당 컬럼이 표현하는 논리적 데이터요소인 ‘엔터티명’을 기술 엔터티정의서에 기록한 엔터티명으로 기술 연관 속성명 .. 2022. 10. 13. 메타관리(데이터베이스명명규칙_03) 데이터베이스 명명규칙이란? 프로젝트를 많이 관리할수록 데이터베이스명을 잘 지어야 데이터베이스명만 봐도 이게 어떤 DB 서버인지 구분할 수 있게끔 네이밍 규칙을 이용해 DB명을 생성한다. 개발자들은 항상 고민하는데 그것은 바로 네이밍 규칙이다. 또한 큰 기업 같은 경우 메타시스템을 도입하는 이유 중 하나다. 잘 만들어진 서버명은 떡잎부터 다르다. 서버명부터 이상한 네이밍을 쓴다면 그 속은 더욱더 이상하게 만들어져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네이밍 규칙은 보통 회사 내부나 프로젝트 진행 시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되는데, 혼자 결정해서 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예 클래스 명, 변수명... 등등) 모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데이터베이스명뿐을 잘 지어야 혼돈을 피할 수 있다. 아래의 방식대로 따라보기로 하자.. 2022. 9. 14. 메타관리(서버명명규칙_02) 서버 명명규칙이란? 프로젝트를 많이 관리할수록 서버명을 잘 지어야 서버명만 봐도 이게 무슨 서버인지 구분할 수 있게끔 네이밍 규칙을 이용해 서버명을 생성한다. 개발자들은 항상 고민하는데 그것은 바로 네이밍 규칙이다. 또한 큰 기업 같은 경우 메타시스템을 도입하는 이유 중 하나다. 잘 만들어진 서버명은 떡잎부터 다르다. 서버명부터 이상한 네이밍을 쓴다면 그 속은 더욱더 이상하게 만들어져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네이밍 규칙은 보통 회사 내부나 프로젝트 진행 시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되는데, 혼자 결정해서 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예 클래스 명, 변수명... 등등) 모든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프로젝트명뿐만 아니라 변수명 클래스명 DB의 칼럼명 까지 그 의미를 충분히 담아내야 한다. 아래의 방식대로 따.. 2022. 9. 6. 메타관리(프로젝트명명규칙_01) 프로젝트 명명 규칙이란? 프로젝트를 많이 관리 할수록 프로젝트명을 잘 지어야 프로젝트명만 봐도 이게 무슨 프로젝트인지 구분할 수 있게끔 네이밍 규칙을 이용해 프로젝트명을 생성한다. 모든 프로젝트를 할 때 개발자들은 항상 고민 하는데 그것은 바로 네이밍 규칙이다. 네카라쿠베당토를 다니는 여러 사람 말로는 이 네이밍으로 인해 몇 시간을 회의한 적이 있다 할 정도로 네이밍 규칙을 정하는 건 중요한 일이다. 또한 큰 기업 같은 경우 메타시스템을 도입하는 이유 중 하나다. 잘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떡잎부터 다르다. 프로젝트명부터 이상한 네이밍을 쓴다면 그 속은 더욱더 이상하게 만들어져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네이밍 규칙은 보통 회사 내부나 프로젝트 진행 시 정해진 규칙을 따르면 되는데, 혼자 결정해서 하는 경우도.. 2022. 9.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