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Ubuntu

Webmin으로 쉽게 하는 리눅스 서버관리

by 베어그릴스 2025. 2. 13.
반응형

webmin 이란?

Webmin은 웹 기반 시스템 관리 도구로, 서버 및 시스템의 다양한 설정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주로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수동으로 에디터를 이용하여 설정파일을 수정할 필요 없이 최신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 Apache, DNS, 파일 공유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X11등의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나 원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능 덕분에 서버 관리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는 대신 직관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주요기능(or View)

기능 설명
Webmin 구성 webmin 환경 설정을 합니다. (테마설정, 접속 권한 설정, 인증 설정, 언어 설정 등)
Webmin 동작 로그 사용 모듈에 관한 로그 정보를 볼 수 있 습니다.
Webmin 사용자 webmin 계정 생성 및 패스워드 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
Webmin 서버 인덱스 동일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webmin 을 관리합니다.
백업 설정 파일 httpd, mysql, sendmail, DNS 등 백업을 설 정합니다.
언어 및 테마 변경 Webmin의 테마 및 언어를 변경합니다.

1. 다운로드 및 설치

공식 사이트 : https://webmin.com/

 

Webmin

Powerful and flexible web-based server management control panel

webmin.com

 

[저장소 구성]

sudo curl -o webmin-setup-repos.sh https://raw.githubusercontent.com/webmin/webmin/master/webmin-setup-repos.sh

sudo sh webmin-setup-repos.sh

 

 

[설치]

 

설치 환경은 우분투 이므로 아래 Debian and derivatives 설치를 보면 됩니다.

[RHEL and derivatives 설치]
sudo dnf install webmin

[Debian and derivatives 설치] - 우분투
sudo apt-get install webmin --install-recommends

 

1. root 패스워드 변경

패스워드를 너무 길게 설정할 경우 적용이 안 되는 것 같으므로 적당히 입력해서 테스트해 보자

sudo perl /usr/share/webmin/changepass.pl /etc/webmin root 비밀번호입력

3. 사이트 접속

localhost:10000

도메인:10000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하실 경우 방화벽그룹에서 허용해주셔야 합니다.

시스템 관리 툴이기 때문에 회사 IP만 등록합니다.

인바운드 규칙

iptables 사용 중 일 경우에만 아래 입력

iptables -A 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10000 -j ACCEPT

 

위에서 root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였으니 root /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로그인화면
대시보드

 

SSL 인증서는 아직 달지 못했는데 다음 편엔 인증서도 올려 보겠다.

 

오늘도 보람찬 생존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