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EC2를 설치하고 어떻게 접속해야 하는지 난감할 것 이다.
EC2 직렬콘솔로 작업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다른 방법을 이용해 접속하여 볼 것이다.
최초 key.pem을 생성하였을것 이다.
그 파일을 다른 리눅스 시스템에 업로딩 한 후
key.pem을 이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할 것이다.
[리눅스 셋팅 초기작업]
kpis.pem가 있는 리눅스에서 초기 작업을 해준다.(리눅스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개인 PC 버추얼머신에 설치하길 권장)
접속 하고자 하는 EC2의 퍼블릭 DNS를 카피 하여 SSH를 연다.
SSH 툴로 써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putty로 진행 한다.
필요한 경우 이 명령을 실행하여 키를 공개적으로 볼 수 없도록 합니다.
chmod 0400 key.pem
퍼블릭 DNS을(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
ssh -i "key.pem" ubuntu@IP~~~
AWS EC2에 접속한 후에 root 권한 획득
[root@ip-172-31-1-222 ~]# sudo su -
root 계정 패스워드 설정
슈퍼 유저 권한을 얻어서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해 준다.
sudo passwd root
SSH 접속시
password 기반의 로그인을 활성화하기
[root@ip-172-31-1-222 ~]# vi /etc/ssh/sshd_config
Change to no to disable tunnelled clear text passwords
PasswordAuthentication no -> yes로 변경.
사용자 계정 생성
톰캣 사용자 생성
----------------------------------------------------------------------------
[root@localhost ~]$ adduser tomcat
PW : ~~~~~~~
tomcat 계정에 sudo 권한부여
sudo usermod -a -G sudo tomcat
putty 재접속
이제 Putty를 재접속하여 EC2의 퍼블릭 DNS나 고정IP로 사용자계정을 넣고 접속해 본다.
[SSH접속]
tomcat 계정으로 SSH Secure Shell 접속
----------------------------------------------------------------------------
IP는 ifconfig를 쳐보면 알 수 있다.
'클라우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goofys 설치 및 S3 마운트 (4) | 2022.12.05 |
---|---|
AWS S3 연동 가이드(s3fs-fuse / cli) (0) | 2022.11.17 |
AWS - EC2 하드디스크 용량 늘리기 (0) | 2022.07.21 |
AWS 비용 계산 (2) | 2022.07.21 |
EC2 설치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