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표준도메인" 이란 공통 표준용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값이 공통으로 갖는 데이터 형식과 값의 영역 표준을 정의한 것을 말한다
공통 표준 단어 및 공통 표준 도메인을 이용하여 업무적 용어로 생성하며, 공통 표준용어의 구성요소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메인이란 도메인네임서버에 등록하는 도메인이 아니라는 점 명심해두자.
공통 표준 도메인
공통 표준 도메인 분류명, 공통 표준 도메인명, 데이터 타입 및 길이, 저장·표현 형식 등으로 구성
형식 단어 여부
해당 표준 단어가 도메인 특성을 지닌 형식 단어(분 류어)인지의 여부를 기재 도메인 분류명
형식단어(분류어)인 경우 해당되는 표준도매인의
표준 단어(Word)의 사전 정의
표준 도메인 사전 정의는 업무적인 용도, 사용 빈도와 데이터의 물리적인 특성 등을 고려하여 도메 인을 분류하고 도메인별 데이터 타입을 부여한다. 도메인에는 코드성 도메인과 숫자 도메인, 날짜 도 메인, 문자 도메인 등이 있다.
표준 도메인 사전
도메인이란 속성에 정의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의 범위를 의미한다. 표준 도메인은 전사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가운데에 논리적, 물리적으로 유사한 유형의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해당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의 유형과 길이를 정의한 것을 말한다. 도메인은 여러 개의 하도메인이 여러 개의 도메인에 중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표준 도메인 관리 기준
표준성
표준 도메인은 전사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속성을 대상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계좌번호는 은행 하위 업무나 상품에 따라 다르지 않으므로 표준 도메인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유일성
동일한 내용의 중복 도메인이 서로 다른 이름으로 선언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업무 지향성
도메인은 지나치게 일반화하여 정의하기보다는 업무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선언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계좌번호의 도메인은 ‘-’가 없이 정의하는 것보다 적절한 의미를 나타내도록 ‘-’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2) 표준 도메인 작성 형식
전사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모든 데이터 속성 혹은 대표 속성 가운데에 DBMS에 동일한 형태로 구현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그룹화한다. 모든 속성은 임의의 도메인에 할당되어야 하며,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복수로 할당되면 안 된다. 속성과 도메인은 상호 매핑하여 관리해야 하며 새로운 속성이 추가될 경우 해당 속성의 도메인을 선정, 등록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도메인의 삭제는 해당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는 속성이 없을 경우에만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표준 도메인 정의서
표준도메인그룹명 | 도메인 분류명 |
도메인명 | 도메인 설명 |
데이터 타입 |
데이터 길이 |
소수점 길이 |
저장 형식 | 표현 형식 | 단위 | 허용값 |
날짜/시간 | 년월 | 년월 | 년월 | CHAR | 6 | - | YYYYMM | YYYY-MM | 연월 | YYYY: 0001~ 9999, MM : 01~1 |
명세 지침
항목 | 항목 정의 및 작성 지침 |
표준도메인 그룹명 |
표준도메인의 상위 구분을 기재 - (예시) 날짜/시간 |
도메인 분류명 |
표준도메인의 세부 구분을 기재 - (예시) 연월 |
도메인명 | 해당 표준도메인명으로 “표준도메인분류명 + 데이터 타입 + 길이(선택)” 형태로 정의 - (예시) 연도C4 |
도메인 설명 |
해당 표준도메인에 대한 정의 및 설명을 기재 |
데이터타입 | 해당 표준도메인이 가지는 데이터 타입을 기재 - (예시) 문자형(CHAR, VARCHAR), 숫자형(NUMERIC), 날짜형(DATETIME) |
데이터길이 | 해당 표준도메인이 가지는 데이터 값의 길이, 소수점이 존재하면 소수점 자리까지 포함한 길이를 기재 ※ 바이트(Byte) 단위의 길이로 한글은 2바이트 기준 |
소수점 길이 | 해당 표준도메인의 데이터 값이 가질 수 있는 소수점 이하의 최대 자릿수를 기재 (소수 값이 존재하고, 데이터유형이 숫자형일 떄만 정의) |
저장형식 | 해당 표준도메인의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형식을 기재 - (예시) 1999년 9월 → YYYYMM (199909) |
표현형식 | 해당 표준도메인의 데이터를 제공할 때 표현하는 형식을 기재 - (예시) 1999년 9월 → YYYY-MM (1999-09 |
단위 | 해당 표준도메인의 데이터 값을 측정하는 단위를 기재 - (예시) m, kg, 도 등 |
허용값 | 해당 표준도메인이 가질 수 있는 최대/최소값이나 유효값을 기재 - (예시) 월 : 01 ~ 12, 여부 : ‘Y’, ‘N’ |
실 사용 예제를 보자
아래 금액을 보도록 하자
그룹명 : 금액
도메인명 : 금액
데이터 타입 : number
길이 :18
소수 : 0
금액에도 소수점이 있는 것과 정수가 존재할 수 있어 두 개로 나뉜다.
도메인을 적용한 컬럼을 보자.
ORDR_AMT numeric(18) /* 주문금액 */
SAL_AMT numeric(18, 5) /* 판매금액 */
ORDR_QTY numeric(13) /* 주문수량 */
SAL_QTY numeric(13) /* 판매수량 */
여기서 눈여겨 보어야 할 점은 주문금액과 판매금액이다 둘 다 같은 도메인인 금액으로 끝나는데 어떻게 정수이고 소수점이 있는 것일까?
도메인은 AMT로 끝나 금액이 맞다. 하지만 우리가 도메인을 관리하듯이 컬럼 또한 관리를 하는 이유가 이것 때문이다.
대규모 프로젝트 같은 경우 디비 컬럼 하나하나 같은 의미와 메타 괸 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래는 컬럼도 관리하는 예시이다.
아래는 주문금액인데 컬럼길이가 18이고 소수점은 0이다.
위와 같이 여태껏 우리가 배운 메타를 활용하여 컬럼을 관리하고 변수명 / 클래스명등 표준 단어가 필요한 모든 곳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 시간엔 컬럼 관리에 배워보도록 하자.
오늘도 보람찬 생존 ^.^
'개발관련 가이드 > 메타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관리(공공데이터 공통표준코드관리) (0) | 2022.10.19 |
---|---|
메타관리(공공데이터 공통표준컬럼관리) (0) | 2022.10.13 |
메타관리(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 (0) | 2022.09.27 |
메타관리(프로젝트폴더명명규칙_05) (2) | 2022.09.23 |
메타관리(테이블명명규칙_04)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