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로드 밸런서란?
서버에 가해지는 트래픽을 여러대의 서버에게 균등하게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로드 밸런서입니다.
서버가 하나일 때 트래픽이 적으면 서버는 무사히 응답을 해줄 것입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서버 한개로는 감당할 수 없는 양이 되는 순간 서버는 다운될 것이고, 서비스 또한 작동을 멈출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서버의 인스턴스 성능을 올리는 스케일-업(Scale-up) 과 서버를 여러대로 나눠서 트래픽을 처리하는 스케일-아웃(Scale-out) 방식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하는 이 로드 밸런서는 바로 스케일-아웃 방식입니다.
그리고 로드 밸런서는 지속적으로 IP주소가 바뀌기 떄문에 도메인 기반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요약 : 로드 밸런스란 과부하되는 요구를 여러서버가 분산처리 하는 기술
Client가 한 두명인 경우에는 어떨까요?
하지만 Client가 한 두명이 아닌 수천만명이라면 어떨까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 Scale-up : Server가 더 빠르게 동작하기 위해 하드웨어 성능을 올리는 방법.
- Scale-out : 하나의 Server 보다는 여러 대의 Server가 나눠서 일을 하는 방법.
Scale-out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 하드웨어 향상하는 비용보다 서버 한대 추가 비용이 더 적습니다.
- 여러 대의 Server 덕분에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러 대의 Server에게 균등하게 Traffic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Load Balancer입니다.
Load Balancing이란?
-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종류
1.Hardware Load Balance
2.Software Load Balance
대상
1.Webserver (IIS, Tomcat, ApacheWeb 등등)
2.Database 서버
3.기타 Domain, Mail, Ftp …
Hardware Load Balance Use Switch
반응형
'기술&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O(woorank) 검색엔진 최적화 (1) | 2023.03.09 |
---|---|
Google Oauth2 (SSO) 가이드 (0) | 2022.12.06 |
Function vs Nonfunction (기능 요구사항 vs 비기능 요구사항) (0) | 2022.08.29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0) | 2022.08.18 |
윈도우 CMD 모드에서 무료 멀티 인증서 발급 (0) | 2022.08.17 |
댓글